이전 게시물에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개념에 대해 간단하게 올렸었다.
2022.10.31 - [대학원 공부/데이터베이스] - [DB공부] 데이터베이스란
이번 게시물에선 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사용하는 이유에 대하여 적어보겠다.
데이터의 중앙 통제적 제어
이는 데이터의 중복을 줄일 수 있고(controlled redundancy), 불일치 데이터가 없으며 데이터의 보안 통제에 효과적이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의 중앙통제적 관리를 위하여 DBA(DataBase Administrator)가 필요하다.
이 DBA는 DA의 정책 결정을 구현하는 실무자로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구축하고 데이터 베이스 설계를 책임진다.
또한 DA(Data Administrator)라는 데이터 관리 정책을 담당하는 고위의사결정자도 필요하다.
이 DA는 어떤 데이터를 대상으로 DB를 구축하고 enterprise의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필요한 데이터의 범위를 정하는 역할을 한다.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는 파일 시스템의 경우에는 개별로 필요한 파일을 생성하고 관리해야 한다.
따라서 파일 간에 데이터 중복이 발생하게 되며, 중복된 데이터로 인한 저장 곤간의 낭비, 데이터 변경시에 불일치 데이터가 발생한다.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하나의 논리적 작업 단위인 트랜젝션(transaction)을 지원한다. (하나의 트랜젝션에는 여러개의 데이터베이스 연산들이 포함될 수 있음) 또한, 데이터 독립성(data independence)을 지원한다. 데이터 독립성이란 응용 프로그램을 변경하지 않고 데이터베이스 구성 또는 저장 구조 등을 변경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참고: 데이터베이스 SQL프로그래밍(MySQL실습), 홍봉희 편저, 부산대학교 출판문화원, 2022
'대학원 공부 > 데이터베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DB] 분산 데이터베이스 처리 (0) | 2022.11.02 |
---|---|
[DB]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구조Ⅱ(Database System Architecture Ⅱ) (0) | 2022.11.02 |
[DB]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구조(Database System Architecture) (0) | 2022.11.01 |
[DB] 데이터 독립성(Data Independence) (0) | 2022.10.31 |
[DB] 데이터베이스란 (0) | 2022.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