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ational 데이터 베이스는 데이터가 테이블로 추상화 된 것을 제공한다.
relational model 에서는 tuple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record가 아님)여기서 tuple은 '여러개의 요소로 된 집합'을 의미한다.즉, 데이터베이스를 relation variable의 집합으로 간주하는 것이다. 테이블 이름이 ralation variable이고, insert/delete/update 전후의 테이블 값이 다른 것을 가지는 것이다.
relational 데이터 모델링 방법에는 predicate와 proposition으로 생각하는 두가지 방식이 있다.
predicate 모델링
predicate는 어떤 변수 x에 대하여 truth-valued functions, p(x)로 지정하는 방법이다.예를 들면 x가 employeer인지에 대한 predicate는 p(x)=employee(x)로 표현한다.relation emp의 eno에 대한 predicate는 p(enox)=eno(enox)로 표현한다. (여기서 enox는 변수로서 eno의 값들을 갖는다.)p(t)=eno(enox) and ename(enamex) and dno(dnox) and salary(salaryx).
proposition 모델링
predicate p(t)가 참이 되는 tuple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employee e1의 이름은 Lopez이고, 부서 d1에서 근무하고 salary가 40K인 사실이 존재한다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p(t)=eno(e1) and ename(Lopez) and dno(d1) and salary(40K)
참고: 데이터베이스 SQL프로그래밍(MySQL실습), 홍봉희 편저, 부산대학교 출판문화원, 2022
'대학원 공부 > 데이터베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DB] Relational 데이터베이스 (0) | 2022.11.03 |
---|---|
[DB] 분산 데이터베이스 처리 (0) | 2022.11.02 |
[DB]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구조Ⅱ(Database System Architecture Ⅱ) (0) | 2022.11.02 |
[DB]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구조(Database System Architecture) (0) | 2022.11.01 |
[DB] 데이터 독립성(Data Independence) (0) | 2022.10.31 |